세입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세가 아닌 월세도 확정일자 받아야 할까? 효과는 무엇일까? “월세도 확정일자 받아야 하나요?”보증금 지키는 확정일자, 전세만 해당되는 건 아니에요! 1. 월세 세입자도 확정일자를 꼭 받아야 해요많은 분들이 “전세는 보증금이 크니까 확정일자를 받아야 하지만,월세는 월마다 내는 거라 굳이 필요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그런데 사실은 월세 세입자에게도 확정일자는 매우 중요해요.왜냐하면 월세 계약도 대부분 보증금이 일정 부분 포함된 임대차 계약이고,이 보증금은 결국 세입자의 목돈이기 때문이에요.확정일자를 받는 이유는,해당 임대차 계약이 언제부터 효력이 발생했는지를 증명하는 공적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예요.이 기록이 있어야 추후 집이 경매에 넘어가거나 압류되는 상황에서도후순위 권리자보다 우선적으로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우선변제권을 갖게 돼요.즉, 월세라도 .. 월세 계약 중 집주인이 바뀌면 세입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집주인이 바뀌었어요… 저는 나가야 하나요?”계약 도중 소유권 변경, 세입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집주인이 바뀌어도 월세 계약은 그대로 유지돼요월세 계약 도중 집주인이 바뀌는 일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해요.건물 매매나 증여, 상속 등으로 임대인이 바뀌는 경우인데요, 이때 세입자는 당황할 수 있지만기존 임대차 계약은 유효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셔야 해요.법적으로는 **"임대인의 지위 승계"**라고 해요.즉, 부동산 소유자가 바뀌면 새 집주인은 기존 임대차 계약상의 의무와 권리를 모두 이어받게 돼요.따라서 임대차 기간 중이라면 세입자는 별도의 계약서를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기존 조건 그대로 거주할 수 있어요.하지만 실무에서는 새로운 집주인이 기존 계약 내용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이전 임대인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