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흐름부터 청약 시장까지, 오늘 꼭 알아야 할 5가지
①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후 진정세
서울시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이후, 아파트 가격 상승률과 거래량이 모두 급감했다고 밝혔습니다.
- 거래량: 1,797건 → 31건
- 가격 상승률
- 강남구: 0.83% → 0.16%
- 서초구: 0.69% → 0.16%
- 송파구: 0.79% → 0.08%
정책 효과가 빠르게 반영되며, 강남권 투자 수요는 일시적으로 위축된 모습입니다.
② 전국 ‘악성 미분양’ 2.4만 가구…11년 만에 최고치
국토부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전국 2만 3,722가구로 집계되며, 2013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전년 동기 대비 99.9% 증가
- 전체의 80% 이상이 지방에 집중
- 대구·경북·전남 등에서 비중 높음
지방의 수요 부족과 공급 과잉이 동시에 드러난 결과입니다.
③ 서울 집값 11주 연속 상승…강북은 조정 흐름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1주 연속 상승 중이며, 강남권이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전체 상승률: 0.08%
- 강북권 중 중랑구는 -0.02% 하락 전환
재건축 기대 지역과 비선호 지역 간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④ 주요 재건축 단지 분양 예정…청약 경쟁 본격화
서울에서는 2025년 상반기를 시작으로 핵심 재건축 단지들의 분양이 잇따라 진행됩니다.
- 잠실 르엘, 서초 아크로 드 서초, 이수역 힐스테이트
- 하반기에는 방배 포레스트 자이,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도 예정
- 신혼·다자녀 가구 대상 청약 우대 확대
청약 경쟁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⑤ 한동훈 대선 후보,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공약 발표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
- 용적률·건폐율 상향 조정
- 그린벨트 해제 및 청년·신혼부부 공급 확대
차기 정부 정책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중장기 방향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요약 체크리스트
- ✅ 강남권 정책 효과 가시화
- ✅ 전국 미분양 주택 급증
- ✅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유지, 강북 일부 하락
- ✅ 재건축 분양 본격화, 청약시장 경쟁 심화
- ✅ 대선 후보 정책 발표 → 시장 반응 주목